전체 글 37

탁상등 - 퓨전으로 디자인부터 제작까지

이번에는 일본식 창호 격자 방식인 쿠미코로 작업을 하다가 남은 격자틀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을 해 보았습니다. 정사각형 형태가 아닌 60도 120도의 마름모 꼴이기 때문에 고깔형태로 갓등이나 탁상등을 만들어 보기로 하였습니다. 이런 3개의 패널을 연결하여 고정할 예정입니다.그림 우선 패널을 모델링하겠습니다. 스케치 평면을 XY평면을 선택하겠습니다.60도 120도를 이루는 정마름모를 위한 변을 스케치합니다. 200은 일단 대략의 길이입니다. 스트립 작업을 테이블 쏘에서 하기 위해서 두께는 3mm 합니다. 반대쪽에서 같은 식으로 스케치를 합니다. 미러링을 해서 생성해도 됩니다.직사각형 패턴을 이용하여 추가로 스케치를 배열합니다. 방향을 마름모 방향이 되도록 선택합니다.마찬가지로 반대쪽도 직사각형 패턴을..

건축목공기능사 공개도면 모델링 및 도면 2

이어서 완성된 모델로 도면을 공개도면과 유사하게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브라우저에 있는 본체들은 부재명에 맞게 수정하겠습니다. 이름을 수정한 후에 모두 구성요소로 바꿔줍니다. 바꾸는 이유는 퓨전의 애니메이션 기능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혹시라도 고정이 된 부재가 있다면 고정 해제를 해줍니다. 이제 애니메이션 모드를 시작하겠습니다.여기에서는 애니메이션 모드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루지는 않습니다. 꼭 필요한 메뉴만 실행하겠습니다.여기서는 새 스토리보드와 구성요소 변환이라는 메뉴만 사용하겠습니다. 여기서는 구성요소 변환이라는 이름이지만 이 아이콘은 실제로 이동/복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동만 할 예정입니다. 공개도면의 조립도-2를 참조하여 각 부재들을 옮길 예정입니다. A2선택하고 구성..

건축목공기능사 공개도면 모델링 및 도면

이번에는 건축목공기능사 공개도면으로 3D 모델링을 하고 공개도면과 유사하게 도면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건축목공기능사 예제는 경사지붕과 창을 형상화 한 것으로 예제 내용이나 난이도가 적절하다는 평이 있어 몇년 동안 계속 되고 있는 형태입니다. 여기서는 현치도에 대한 내용을 다루지는 않습니다. 현치도에 대한 내용은 다른 곳의 자료를 참고하시고 3D로 검증되는 내용과 퓨전에서의 도면 이용에 대한 관점으로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E,F,G 부재는 창을 위한 부재이면 나머지는 경사지붕을 위한 부재입니다. A부재가 2개이기 때문에 B부재를 받치는 A부재를 A1이라 하고 나머지를 A2라 하겠습니다. C부재도는 왼쪽을 C1, E부재는 A2부재위에 있는 E부재를 E2, 나머지는 E1이라 칭하겠습니다.A부재를 생성하도..

퓨전에서 도면 그리기

퓨전에서는 3D로 작성한 모델을 2D 도면으로 변환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높습니다. 또한 설계가 변경되었을 때 자동으로 도면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모델 변경시에 수고를 덜 수도 있습니다.물론 CAD만큼 제대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가구제작을 위한 도면이라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디자인부터 도면까지 한 플랫폼에서 진행한다는 것은 정말 매력적인것 같습니다.  1. 툴바 도면작성시 사용되는 메뉴들이 있습니다.2. 브라우저 솔리드 모드에서도 있는 브라우저입니다.3. 캔버스  도면을 작업하는 공간입니다.4. Property panel 실행되고 있는 메뉴에 대한 세부 속성을 편집할 수 있는 창입니다.5. Title Block 설계자 이름, 도면 번호, 프로젝트 이름 등의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퓨전의 구성요소와 조립 예제 2_2 - 가구제작기능사

가구제작기능사 도면을 참고하여 모델링을 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작업하셨었죠? 여기에서는 문짝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툴바의 조립 카테고리에서 새 구성요소 메뉴를 실행합니다. 이름은 문짝으로 하고 활성화를 체크했기 때문에 앞으로의 작업은 문짝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진행됩니다.스케치 작성으로 누르고 앞면을 선택합니다.스케치에서 2점 직사각형으로 사각형을 스케치한 후에 옆판과 상판에서 1mm씩 떨어지도록 치수를 입력합니다. 바닥과는 10이 떨어지도록 스케치합니다.잠시 스케치에 방해가 되는 본체는 보이지 않게 해둡니다. 간격띄우기로 문틀의 폭인 35만큼 띄웁니다. 문틀의 코너 맞춤은 가,나,다,라형이 있는데 전부 가형으로 진행하겠습니다. 가형 모양을 위해 선 메뉴로 연귀를 스케치하고 세로직선도..

퓨전의 구성요소와 조립 예제 2_1 - 가구제작기능사

자 이번에는 가구제작기능사 시험의 공개도면을 바탕으로 모델링을 해 보겠습니다.색상과 조립까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https://youtu.be/_ner8hi3s_0   평면 간격띄우기를 YZ평면에서 거리를 수납장의 폭의 절반인 320/2만큼 띄우고 그 평면을 스케치 평면으로 선택합니다. 2점 직사각형으로 스케치한 후에 중간점 구속으로 아랫변의 중심과 원점이 일치하도록 구속합니다.가로와 세로의 치수를 입력합니다.풍혈 작업을 위해 2점 직사각형으로 사각형을 그린후에 떨어진 치수를 입력합니다.이후 3점호 메뉴를 실행하고 두 점을 선택하여 호를 생성합니다. 연결되는 지점에 접선 구속이 생기지 않았다면 접선 구속메뉴를 실행하여 접선연결을 하면 됩니다.호 2개가 연결된 지점이 원점과 수직하도록 수평/수직 구속조건으..

퓨전의 구성요소와 조립 예제 1 - 보석함

이전에 작업하고 덮개까지 절단해 두고 저장해 두었던 보석함을 다시 가져오겠습니다.조립 카테고리의 새 구성요소 메뉴를 실행합니다.구성요소의 이름를 적습니다. 처음 구성요소를 생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위구성요소는 당연히 저장히 놓은 파일이 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07 보석함 캡쳐라는 파일명이기 때문에 이름에 그렇게 뜨고 있습니다.브라우저의 본체에서 덮개 부분에 해당되는 본체들을 선택해서 덮개 구성요소로 드래그를 하여 해당 본체들이 덮개라는 구성요소에 소속될 수 있도록 합니다.(브라우저에서 중복 선택은 파일 탐색기에서처럼 ctrl 키를 누르고 선택하면 됩니다.)자 구성요소를 다시 생성해 봅니다. 새 구성요소 메뉴를 실행합니다. 이름은 베이스로 정하였고 상위 구성요소는 아까와 동일합니다.나머지 본체들을 베이스 ..

퓨전의 구성요소와 조립의 이해

여기서는 구성요소나 조립의 세부적이고 깊은 이해보다는 가구 모델링에 있어 필요한 기능만을 다룰 예정입니다. 퓨전에서의 구성요소는 설계 작업에서 모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조립품을 구성하는 핵심 단위입니다.특징을 살펴보면1. 독립적인 설계 단위- 구성요소는 독립적인 모델링환경을 가지며, 고유한 스케치, 바디, 피처 등르 포함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으로 수정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2. 조립품의 구성 요소- 여러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하나의 조립품을 형성합니다.- 각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조립 시뮬레이션 및 상호작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3. 계측정 구조- 브라우저에서 계층적으로 표소되면, 주 구성요소와 하위 구성요소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설계를 체게적으로 정리..

퓨전 렌더링 기본 사용법

퓨전에서 제공하는 렌더링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여기에서는 퓨전의 기본 렌더링만을 사용할 예정기 때문에 전문적인 기능을 원하시는 분은 전문 렌더링 교육을 이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예제에서 모델링하였던 라운지체어를 다시 열어보겠습니다.겉의 색상은 목재(솔리드)에서 단풍나무를 적용하였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것으로 하시면 됩니다.디자인 탭에서 렌더링으로 들어갑니다.몇가지 안되는 메뉴가 있지만 딱 두가지만 사용하겠습니다. 장면설정과 렌더색상이나 텍스쳐 맵 컨트롤은 디자인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특별히 수정하게 없습니다.모델링의 이미지가 뭔가 달라보이는 이유는 렌더링으로 오게되면 자동적으로 원근으로 시선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자 장면 설정 메뉴를 실행해 봅시다.광도는 피사체의 밝기를 조절합..

합판 재료 만들어서 합판의자에 텍스체 입히기

이전에 모델링을 했던 합판의자에 물리적 재료와 색상을 입혀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작나무에 대한 정보를 먼저 찾아보겠습니다. https://www.wood-database.com/ The Wood Database www.wood-database.com 알고 있는 자작합판의 이미지와 비슷한 자작나무 품종을 골랐습니다.ALASKA PAPER BIRCH이미지를 다른이름으로 저장을 해 둡니다. 그리고 합판의 밀도를 사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밀도는 그냥 참고용으로만 알아둡니다. 이전에 했던 것처럼 물리적 재료 메뉴를 실행하고 재료를 이 설계로 드래그하여 복제를 하고 복제한 재료의 우클릭으로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메모장에서 '자작나무'란 글씨를 쓰고 복사한 다음 재료의 이름란에 붙여넣기 하였습니다. 밀도도 ..